표, 보드, 캘린더, 리스트, 갤러리: 5가지 데이터베이스 보기 완벽 비교


지난번, 우리는 직접 데이터베이스로 ‘할 일 목록’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마감일과 상태까지 표시되니 제법 그럴듯한 관리 시스템이 되었어요. 하지만 완성된 표를 보며 ‘이게 그냥 좀 더 예쁜 엑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셨을지도 모릅니다. 만약 그랬다면, 오늘 그 생각이 완전히 바뀌게 될 수 있어요.


오늘은 노션 데이터베이스의 마법, 바로 ‘보기(View)’ 기능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똑같은 데이터라도 어떤 안경을 쓰고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보이는 것처럼, 보기 기능은 여러분이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목적에 맞게 전혀 다른 형태로 변신시켜 줍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단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프로젝트 관리 보드, 콘텐츠 캘린더, 심플한 체크리스트를 자유자재로 오가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거예요!

보기_1



1. ‘보기(View)’란? 똑같은 데이터, 다른 옷을 입다


먼저 ‘보기’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보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본 데이터는 그대로 둔 채, 그것을 보여주는 ‘전시 방식’만 바꾸는 기능입니다.

데이터는 하나지만, 그것을 표로 볼 수도 있고, 달력으로 펼쳐볼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옆에 있는 ‘+’ 버튼을 눌러 언제든지 새로운 보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기_2


2. 표 보기 (Table View): 모든 정보의 기본 창고


이것은 우리가 가장 먼저 만나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형태입니다. 엑셀이나 스프레드시트처럼 모든 속성(열)과 항목(행)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전체 항목의 속성을 일괄적으로 편집하고, 필터와 정렬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때 가장 효율적인 보기 방식입니다.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이 되는 ‘베이스캠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기_3


3. 보드 보기 (Board View): 흐름을 관리하는 칸반보드


보드 보기는 데이터를 ‘상태’나 ‘분류’ 같은 특정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보여줍니다.

우리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상태’ 속성(대기, 진행 중, 완료)을 기준으로 이 보기를 적용하면, 각 상태에 해당하는 할 일들이 카드로 표시됩니다.

이 카드를 마우스로 끌어 ‘진행 중’에서 ‘완료’ 칸으로 옮기기만 해도 원본 데이터의 상태 값이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일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하는 데 최적화된 보기 방식입니다.

보기_4


4. 캘린더 보기 (Calendar View): 시간을 지배하는 달력


캘린더 보기는 데이터에 입력된 ‘날짜’ 속성을 기준으로 달력 위에 항목을 배치해 줍니다.

우리가 설정한 ‘마감일’을 기준으로 이 보기를 적용하면, 어떤 날짜에 어떤 할 일이 마감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발행 일정, 미팅 스케줄, 개인 약속 등 시간 순서에 따라 일정을 관리해야 할 때 이보다 더 직관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5. 리스트 보기 (List View): 핵심만 보여주는 미니멀리즘


리스트 보기는 가장 단순하고 깔끔한 형태로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페이지 제목처럼 각 항목이 세로로 쭉 나열되는 방식이라, 모바일 환경에서 보거나 많은 정보를 빠르게 훑어볼 때 매우 편리합니다.

회의록 목록, 아이디어 노트, 독서 기록처럼 세부 속성보다는 제목 자체가 중요한 데이터를 관리할 때 사용하면 페이지가 훨씬 간결해 보입니다.


6. 갤러리 보기 (Gallery View):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앨범


갤러리 보기는 페이지의 커버 이미지나 ‘파일과 미디어’ 속성에 추가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삼아, 데이터를 카드 형태의 앨범처럼 보여줍니다.

영화 포스터를 모아 나만의 영화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음식 사진으로 레시피 북을 만들고, 디자인 시안을 모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등 시각적인 요소가 중요한 데이터를 관리할 때 최고의 효율을 보여줍니다.






이제 어떤 보기를 언제 사용해야 할지 감이 오시나요? 데이터의 성격과 나의 사용 목적에 맞게 다양한 옷을 갈아입히는 것, 이것이 노션 데이터베이스 활용의 핵심입니다.


지금 바로 지난 시간에 만든 할 일 목록 데이터베이스에 ‘보드 보기’와 ‘캘린더 보기’를 추가해 보세요. 똑같은 데이터가 전혀 다르게 보이는 마법을 직접 경험하게 될 겁니다.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강력한 기능, ‘관계형’과 ‘롤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