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첫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간단한 할 일 목록)


지금까지 우리는 노션의 기본 블록과 페이지 구조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것만으로도 노션을 훌륭한 노트 앱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노션을 ‘올인원 생산성 도구’라고 부르는 진짜 이유는 바로 지금부터 배울 ‘데이터베이스(Database)’ 기능 때문입니다!


'데이터베이스'라는 말만 들어도 왠지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나요? 엑셀의 함수나 코딩을 떠올렸다면, 잠시 그 생각은 접어두셔도 좋습니다. 노션의 데이터베이스는 마치 레고 블록처럼, 직관적이고 유연하게 자신만의 맞춤형 표를 만드는 기능입니다.


오늘은 그 첫걸음으로,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할 일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직접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 글을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단순한 체크리스트를 넘어 체계적으로 업무를 관리하는 자신만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첫 단추를 꿰게 될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_1



1. 데이터베이스, 왜 써야 할까?

우리는 이미 ‘할 일 목록’ 블록을 배운 적이 있습니다. 간단한 목록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죠.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강력한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속성 추가: 각 할 일에 ‘마감일’, ‘담당자’, ‘중요도’ 같은 추가 정보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정렬 및 필터링: 마감일이 임박한 순서대로 보거나, ‘진행 중’인 업무만 골라서 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보기 형태: 똑같은 할 일 목록을 표, 칸반 보드, 캘린더, 리스트 등 원하는 형태로 언제든지 바꿔서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일반 블록과 데이터베이스의 결정적인 차이입니다.




2. 나의 첫 데이터베이스: 할 일 목록 만들기


하나.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빈 페이지에서 슬래시(/)를 입력하고, 스크롤을 조금 내려 ‘데이터베이스’ 섹션을 찾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표 - 인라인’을 선택해 보세요. ‘인라인’이란, 페이지 안에 쏙 들어가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진다는 뜻입니다.


둘. 기본 속성 설정하기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면, ‘이름’과 ‘태그’라는 두 개의 기본 열(속성)이 보일 겁니다.


  • 이름: 이 열은 데이터베이스의 핵심으로, 삭제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우리가 할 일을 하나씩 입력할 겁니다. 예를 들어, ‘노션 포스팅 작성하기’, ‘은행 방문하기’ 처럼요.
  • 태그: 이 열의 이름을 클릭하고, ‘속성 편집’을 선택하여 이름을 ‘상태’라고 바꿔봅시다. 그리고 속성 유형은 ‘선택’으로 그대로 둡니다. 이제 ‘상태’ 열 아래 칸을 클릭하면 ‘옵션 생성’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대기’, ‘진행 중’, ‘완료’라는 세 가지 옵션을 만들어 보세요. 이제 각 할 일의 진행 상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_2



3. 새로운 속성 추가하기: 마감일 설정

할 일 목록에 마감일이 빠질 수 없죠.


  • 속성 추가: 표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합니다.
  • 속성 유형 선택: 나타나는 메뉴에서 ‘날짜’를 선택합니다.
  • 속성 이름 변경: 새로 생긴 열의 이름을 ‘마감일’로 바꿔줍니다.

이제 ‘마감일’ 열 아래 칸을 클릭하면 달력이 나타나고, 각 할 일의 마감 날짜를 지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데이터 입력하고 활용하기


이제 여러분이 만든 데이터베이스 표에 할 일들을 쭉 입력해 보세요. 각 항목마다 ‘상태’를 지정하고 ‘마감일’을 설정합니다. 몇 가지 항목만 입력해도, 단순한 체크리스트와는 비교할 수 없이 체계적인 목록이 완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정렬 기능: ‘마감일’ 열의 이름을 클릭하고 ‘오름차순 정렬’을 선택해 보세요. 마감일이 빠른 순서대로 할 일들이 자동으로 재배치됩니다.
  • 필터 기능: 데이터베이스 오른쪽 상단의 ‘필터’ 버튼을 클릭하고, ‘상태’가 ‘완료’가 ‘아닌’ 항목만 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완료된 업무는 숨기고 앞으로 해야 할 일에만 집중할 수 있죠.
데이터베이스_3



여러분은 방금 노션의 핵심 기능인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만들고 활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오늘 만든 할 일 목록을 꾸준히 사용하며 익숙해져 보세요!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베이스의 꽃, ‘다양한 보기(View)’ 기능을 활용하여 오늘 만든 할 일 목록을 칸반 보드와 캘린더 형태로 변신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