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 함수(Formula) 시작하기: 기초 개념 및 쉬운 예제


 ‘함수’라는 말만 들어도 왠지 머리가 아프고, 엑셀의 복잡한 수식이 떠올라 지레 겁먹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노션의 함수는 엑셀과는 접근 방식이 조금 다르고, 몇 가지 기본 개념만 이해하면 여러분의 데이터베이스를 정말 똑똑한 자동화 도구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함수 기능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부터, 누구나 바로 따라 할 수 있는 아주 쉬운 실전 예제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함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한번 해볼 만한데?’ 하는 자신감을 얻게 되실 거예요.



1. 노션 함수, 엑셀과 무엇이 다른가요?


함수를 배우기 전에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개념이에요. 엑셀과 노션의 함수는 작동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 엑셀의 방식: ‘셀(Cell)’ 기준 - 엑셀은 A1, B2, C3처럼 특정 ‘셀’의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A1 + B1 이라고 수식을 입력하죠. 만약 B열을 C열 뒤로 옮기면, 수식이 깨지거나 일일이 다 고쳐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겨요.


  • 노션의 방식: ‘속성(Property)’ 기준 - 노션은 셀의 위치가 아니라, 속성의 ‘이름’을 기준으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prop("가격") + prop("배송비") 처럼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가격’ 속성 열을 데이터베이스의 맨 끝으로 옮기든, 중간에 다른 속성을 끼워 넣든, 속성의 이름만 바뀌지 않으면 함수는 절대 깨지지 않고 계속 정상적으로 작동해요.

또한, 한 줄에만 함수를 입력하면 그 속성(열) 전체에 동일한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엑셀처럼 함수를 아래로 쭉 복사해서 붙여넣을 필요도 없습니다. 훨씬 더 직관적이고 관리하기 편한 방식입니다.


함수1



2. 함수 속성, 어떻게 만들고 수정하나요?


함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함수’ 유형의 속성을 만들어야 해요.


1. 함수 속성 추가하기

데이터베이스의 표 오른쪽 끝에 있는 ‘+’ 버튼을 눌러 새 속성을 추가합니다.

속성 유형 목록에서 스크롤을 내려 ‘고급’ 섹션에 있는 ‘함수(Formula)’를 선택해주세요.


2. 함수 편집창 열기

‘함수’ 속성이 만들어지면, 속성의 이름을 (예: ‘총합계’) 바꿀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속성의 아무 칸이나 클릭해보세요. 그럼 ‘수식 편집(Edit formula)’이라는 메뉴가 나타나고, 이걸 누르면 드디어 함수를 입력할 수 있는 편집창이 열립니다.


3. 편집창 살펴보기

편집창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어요.

  • 위쪽 입력창: 여기에 우리가 실제 수식을 입력하게 됩니다.
  • 왼쪽 사이드바: 우리가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속성들(예: prop("가격")), 내장 함수들(예: if, now), 상수(예: pi) 목록이 쭉 나열되어 있어요. 이걸 클릭만 해도 수식 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4. 수식 입력 및 완료

입력창에 원하는 수식을 다 적었다면, 파란색 ‘완료(Done)’ 버튼을 누르세요. 그럼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행에 여러분이 만든 규칙이 적용되어 결과값이 쫙 표시될 거예요.


함수2



3. 왕초보를 위한 3가지 실전 예제


이제 개념을 알았으니, 가장 유용하고 쉬운 예제 3가지를 함께 만들어 볼게요.


  • 예제 1: 숫자 자동 계산하기 (가격 + 배송비 = 총합계)

가장 기본이 되는 숫자 계산이에요. 다시는 계산기를 두드릴 필요가 없게 만들어줍니다.

  1. 먼저, ‘가격’이라는 이름의 ‘숫자’ 속성과 ‘배송비’라는 이름의 ‘숫자’ 속성을 미리 만들어 두세요.
  2. 새로운 ‘함수’ 속성을 추가하고, 이름은 ‘총합계’라고 지어줍니다.
  3. ‘총합계’ 칸을 클릭해 함수 편집창을 엽니다.
  4. 수식 입력창에 prop("가격") + prop("배송비") 라고 입력하세요. (팁: prop("가격")을 직접 입력해도 되고, 왼쪽 사이드바의 ‘속성’ 목록에서 ‘가격’을 클릭한 뒤 +를 쓰고, 다시 ‘배송비’를 클릭해도 됩니다.)
  5. ‘완료’ 버튼을 누르세요.
  6. 이제 ‘가격’ 칸과 ‘배송비’ 칸에 숫자를 입력해보세요. ‘총합계’ 칸에 두 숫자가 더해진 값이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되어 나타납니다.


  • 예제 2: 텍스트 자동 조합하기 (성 + 이름 = 전체 이름) - 함수는 숫뿐만 아니라 텍스트(문자열)도 다룰 수 있어요.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때 아주 유용합니다.

  1. ‘성’이라는 이름의 ‘텍스트’ 속성과 ‘이름’이라는 이름의 ‘텍스트’ 속성을 준비합니다.
  2. 새로운 ‘함수’ 속성을 추가하고, 이름은 ‘전체 이름’이라고 지어줍니다.
  3. 함수 편집창을 열고, 수식 입력창에 prop("성") + prop("이름") 이라고 입력합니다.
  4. ‘완료’를 누르고, ‘성’에 ‘홍’, ‘이름’에 ‘길동’을 입력해보세요.
  5. 결과가 ‘홍길동’으로, 띄어쓰기 없이 붙어서 나올 거예요.
  6. 중간에 띄어쓰기를 넣으려면, 수식을 prop("성") + " " + prop("이름") 처럼 수정해야 합니다.
  7. 이렇게 함수 안에서 실제 텍스트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띄어쓰기 한 칸조차도 반드시 큰따옴표(" ")로 감싸줘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예제 3: 간단한 자동화 (if 함수로 완료 상태 표시하기) - 이것만 할 줄 알아도 함수를 50%는 활용하는 거예요. if 함수는 ‘만약 ~라면 A를 하고, 아니라면 B를 해라’는 뜻의 논리 함수입니다. 할 일 목록의 상태를 자동으로 표시해 볼게요.

  1. ‘완료’라는 이름의 ‘체크박스’ 속성을 하나 준비합니다.
  2. 새로운 ‘함수’ 속성을 추가하고, 이름은 ‘진행 상태’라고 지어줍니다.
  3. if 함수의 기본 구조는 if(조건, 조건이 참일 때 표시할 값, 조건이 거짓일 때 표시할 값) 입니다.
  4. 함수 편집창에 이렇게 입력해 보세요. if(prop("완료") == true, "✅ 완료됨", "⬜ 진행 중")
  5. 각 부분의 의미는 이렇습니다.
    • prop("완료") == true: ‘완료’ 체크박스가 ‘체크되어 있다(true)’면 이라는 조건이에요. ==는 ‘같다’는 것을 비교하는 기호입니다.
    • "✅ 완료됨": 위 조건이 참일 때(체크됐을 때) 보여줄 텍스트입니다.
    • "⬜ 진행 중": 위 조건이 거짓일 때(체크 안 됐을 때) 보여줄 텍스트입니다.


        6. ‘완료’ 버튼을 누르고, 이제 데이터베이스의 ‘완료’ 체크박스를 껐다 켰다 해보세요. ‘진행 상태’ 칸의 글자가 이모티콘과 함께 자동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함수3



4. 함수가 어렵게 느껴질 때 알아둘 점


함수를 처음 작성하다 보면 빨간색 에러 메시지를 만나고 당황할 수 있어요.

  • 에러 메시지를 무서워하지 마세요: 수식 편집창 하단에 나오는 에러 메시지는 대부분 힌트예요. ‘괄호가 짝이 안 맞는다(Parenthesis mismatch)’거나, ‘쉼표가 빠졌다(Expected 1 more argument)’처럼 무엇이 문제인지 알려줍니다.
  • 속성 이름 확인: 함수는 속성 이름의 대소문자나 띄어쓰기까지 정확하게 구분해요. prop("name")과 prop("Name")은 다른 것으로 인식하니, 왼쪽 사이드바에서 클릭해서 입력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복사-붙여넣기로 시작하세요: 처음부터 모든 수식을 외워서 쓰려고 할 필요 없어요. 인터넷에 있는 유용한 수식들을 복사해서 가져온 뒤, prop("가격") 같은 속성 이름만 내 데이터베이스에 맞게 고쳐서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함수4




함수는 노션에 날개를 달아주는 기능이에요. 오늘 배운 가장 간단한 숫자 계산이나 텍스트 조합부터 하나씩 시도해보세요. 반복 작업을 줄여주고 데이터를 훨씬 더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자동화의 즐거움을 금방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댓글